바쁜 일상 속에서 언제 왔는지 모를 한가위(추석)가 다가오고 있습니다.
한가위(추석)의 ‘한’은 ‘크다’의 뜻이며, 가위는 가을의 가운데라는 뜻이어서 한가위란 ‘8월의 한가운데에 있는 큰 날’의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면 한가위에는 선물과 음식장만을 위해 시장이 떠오르는데요.
전통시장에서 사용이 편리한 온누리상품권을 할인구매를 할 수 있다고 합니다.

온누리 상품권
온누리상품권은 대한민국에서 전통시장과 상점가 활성화를 위해 발행된 상품권입니다. 온누리상품권은 지류(종이)와 전자(카드, 모바일) 형태로 발행되며, 전국의 전통시장 및 상점가에서 사용이 가능합니다.
온누리상품권의 주요 목적은 전통시장에 대한 소비를 촉진하고,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는 것입니다. 다양한 할인 혜택과 이벤트를 통해 국민들에게 인기가 있으며, 온누리상품권을 사용할 수 있는 가맹점도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습니다.
온누리상품권은 은행이나 지정된 온라인 채널에서 구입할 수 있으며, 구매 시 일정 금액에 대해 할인이 제공되기도 합니다.
추석 맞이 온누리 상품권 특별할인
추석을 맞이해 전통시장, 상점가 등에서 사용 가능한 온누리상품권을 최대 15% 할인율을 적용하여 9월 한 달 동안 구매가 가능합니다.
최대 200만원 한도 15% 할인율 적용 시 30만원의 할인율을 적용받게 되어 평소 지류상품권 5%, 온라인상품권 10%에 비교한다면 추가적인 5%는 고물가 시대에 파격적인 혜택이 아닌가 싶습니다.
가맹등록 완화
기존엔 도소매업 및 용역업을 영위하는 전통시장, 상점가 내 점포만 온누리상품권 가맹점으로 등록할 수 있었지만 이번 개정을 통해 28종의 제한업종을 제외한 모든 업종이 가맹 등록을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가맹제한 업종 40종 중 12종 해제
한복 등 의복 제조, 장신구 등 액세서리 제조, 인쇄소 등 소규모 제조업 영위하는 소상공인도 온누리 상품권 가맹점으로 등록을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가맹제한 업종 해제
전통시장 및 상점가 안에 있지만 가맹 제한 업종이던 태권도, 요가, 필라테스 등 스포츠 및 레크리에이션 학원, 피아노 등 악기 교습학원, 미술학원, 무용학원, 연기학원, 의원, 한의원, 치과의원, 동물병원, 노래연습장, 법무 및 세무사무소 등도 온누리 상품권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고 물가 시대에 전통시장이 대형마트처럼 문화센터가 생겼으면 하는 생각에 추진되는 정책인 듯합니다.
하지만 불편한 주차시설 및 협소한 장소등은 지속적인 숙제로 남을 듯합니다.

온누리 상품권 3종 SET
지류 온누리 상품권

모바일 온누리 상품권
사용방법
소비자
온누리페이 앱 (APP), 비플페이 앱(APP)에서 온누리 모바일상품권 구입 및 가맹점의 QR을 촬영한 후 금액을 입력·전송하여 결제


가맹점
가맹점 전용앱(APP)을 통해 결제내역 알림을 받을 수 있습니다.(추후 고도화 예정)
결제관리를 위해서는 ①가맹점 전용앱을 다운받아 ②회원가입을 하시고, ③가맹점을 연결하시면 됩니다.
충전식 카드 온누리 상품권



2024년 추석 맞이 온누리 상품권 15% 할인
9월 한 달(30일까지) 카드형과 모바일 온누리 상품권의 할인율이 기존 10%에서 15%로 상향 조정되었습니다..
지류형 온누리 상품권의 할인 5%
모바일 온누리 상품권 10% > 15%
카드형 온누리 상품권 10% > 15%
월 개인 구매 한도는 200만원으로 디지털 온누리 상품권 특별할인 판매 규모는 2천500억 원입니다.
특별판매 액 소진 시 15% > 10%
디지털 온누리 상품권 특별할인 판매액 소진 시 15% 할인율을 다시 종전 10% 할인율로 조정하며 기간이 9월 한 달로 정해져 있기는 하지만 예산 소진 시 조기 종료 될 수 있습니다.
모바일 & 카드형 공약하자
작성일 기준 모바일 소진 종료

작성일 기준 카드형 판매 확인 필요

일단 전 구매 성공입니다.
모두 온누리 상품권 15% 할인받고 전통시장에서 알뜰 구매 많이 해서 풍요로운 한가위(추석) 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