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온누리 상품권 추석맞이 할인율 상향 및 모바일 온누리 상품권 종료 카드형 온누리 상품권 구매성공기

by 네모란세상 2024. 9. 4.

바쁜 일상 속에서 언제 왔는지 모를 한가위(추석)가 다가오고 있습니다.

한가위(추석)의 ‘한’은 ‘크다’의 뜻이며, 가위는 가을의 가운데라는 뜻이어서 한가위란 ‘8월의 한가운데에 있는 큰 날’의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면 한가위에는 선물과 음식장만을 위해 시장이 떠오르는데요.

전통시장에서 사용이 편리한 온누리상품권을 할인구매를 할 수 있다고 합니다.


온누리 상품권


온누리상품권은 대한민국에서 전통시장과 상점가 활성화를 위해 발행된 상품권입니다. 온누리상품권은 지류(종이)와 전자(카드, 모바일) 형태로 발행되며, 전국의 전통시장 및 상점가에서 사용이 가능합니다.

온누리상품권의 주요 목적은 전통시장에 대한 소비를 촉진하고,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는 것입니다. 다양한 할인 혜택과 이벤트를 통해 국민들에게 인기가 있으며, 온누리상품권을 사용할 수 있는 가맹점도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습니다.

온누리상품권은 은행이나 지정된 온라인 채널에서 구입할 수 있으며, 구매 시 일정 금액에 대해 할인이 제공되기도 합니다.

추석 맞이 온누리 상품권 특별할인


추석을 맞이해 전통시장, 상점가 등에서 사용 가능한 온누리상품권을 최대 15% 할인율을 적용하여 9월 한 달 동안 구매가 가능합니다.

최대 200만원 한도 15% 할인율 적용 시 30만원의 할인율을 적용받게 되어 평소 지류상품권 5%, 온라인상품권 10%에 비교한다면 추가적인 5%는 고물가 시대에 파격적인 혜택이 아닌가 싶습니다.

가맹등록 완화


기존엔 도소매업 및 용역업을 영위하는 전통시장, 상점가 내 점포만 온누리상품권 가맹점으로 등록할 수 있었지만 이번 개정을 통해 28종의 제한업종을 제외한 모든 업종이 가맹 등록을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가맹제한 업종 40종 중 12종 해제


한복 등 의복 제조, 장신구 등 액세서리 제조, 인쇄소 등 소규모 제조업 영위하는 소상공인도 온누리 상품권 가맹점으로 등록을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가맹제한 업종 해제

전통시장 및 상점가 안에 있지만 가맹 제한 업종이던 태권도, 요가, 필라테스 등 스포츠 및 레크리에이션 학원, 피아노 등 악기 교습학원, 미술학원, 무용학원, 연기학원, 의원, 한의원, 치과의원, 동물병원, 노래연습장, 법무 및 세무사무소 등도 온누리 상품권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고 물가 시대에 전통시장이 대형마트처럼 문화센터가 생겼으면 하는 생각에 추진되는 정책인 듯합니다.

하지만 불편한 주차시설 및 협소한 장소등은 지속적인 숙제로 남을 듯합니다.


온누리 상품권 3종 SET


지류 온누리 상품권


모바일 온누리 상품권

사용방법

소비자
온누리페이 앱 (APP), 비플페이 앱(APP)에서 온누리 모바일상품권 구입 및 가맹점의 QR을 촬영한 후 금액을 입력·전송하여 결제



가맹점
가맹점 전용앱(APP)을 통해 결제내역 알림을 받을 수 있습니다.(추후 고도화 예정)
결제관리를 위해서는 ①가맹점 전용앱을 다운받아 ②회원가입을 하시고, ③가맹점을 연결하시면 됩니다.

충전식 카드 온누리 상품권





2024년 추석 맞이 온누리 상품권 15% 할인

9월 한 달(30일까지) 카드형과 모바일 온누리 상품권의 할인율이 기존 10%에서 15%로 상향 조정되었습니다..

지류형 온누리 상품권의 할인 5%
모바일 온누리 상품권 10% > 15%
카드형 온누리 상품권 10% > 15%

월 개인 구매 한도는 200만원으로 디지털 온누리 상품권 특별할인 판매 규모는 2천500억 원입니다.  

특별판매 액 소진 시 15% > 10%

디지털 온누리 상품권 특별할인 판매액 소진 시 15% 할인율을 다시 종전 10% 할인율로 조정하며 기간이 9월 한 달로 정해져 있기는 하지만 예산 소진 시 조기 종료 될 수 있습니다.

모바일 & 카드형 공약하자

작성일 기준 모바일 소진 종료


작성일 기준 카드형 판매 확인 필요

일단 전 구매 성공입니다.
모두 온누리 상품권 15% 할인받고 전통시장에서 알뜰 구매 많이 해서 풍요로운 한가위(추석) 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