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국군의 날 기념일 : 임시 공휴일 지정

by 네모란세상 2024. 9. 26.

국군의 날은 원래 공휴일이었습니다.

 

백골부대가 38선을 진격한 날 10월 1일

전쟁 직후 국군의 중요성 및 군의 사기진작을 위해 1956년에 정식 국가 기념일로 제정되어 1976년부터는 공휴일이 되었으나 1991년부터 기업 생산성 향상을 위해 공휴일에서 제외되었습니다.

 

1990년대 발생된 우표만 보아도 88 올림픽이 끝나고 경기 부흥기라 경제발전에 힘쓰는 시기엔 법정 공휴일도 임시공휴일도 대체 휴일도 전부 사치스러운 일들이었나 봅니다.

당시 경제 발전에 힘쓰던 시기여서 휴식, 지금 말하면 워라밸이란 말이 나오기 전이고 열심히 일해서 한글날도 공휴일에서 제외되었으나 2013년부터 한글날은 재지정되었고 국군의 날은 여전히 법정공휴일이 아닌 일반적인 국군의 날입니다

 

 

 
 

이젠 당연한 주 5일도 시행된 지 많은 시간이 흐르고 이젠 주 4일 근무를 주장하고 있는 상황에서 원래 공휴일이었던 국군의 날을 경기부양을 위해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고 내수 소비 진작에 힘을 써 어려움에 고통받은 자영업자 분들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징검다리 휴무를 잘 이용해 보라고 힘쓰고 있는 모습니다.

 

그럼 임시 공유일과 대체휴일이란?

 

1. 우리나라 임시공휴일의 역사와 그 배경

 

임시공휴일은 정부가 필요에 따라 특별히 지정한 공휴일로, 주로 국가적 행사를 기념하거나 사회적, 경제적 안정이 필요할 때 지정됩니다. 한국에서 임시공휴일의 역사는 비교적 짧습니다. 첫 임시공휴일은 1981년 제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을 성공적으로 마친 기념으로 지정되었는데, 이때부터 임시공휴일의 역할은 국가적 성과를 축하하거나 특정 이슈를 완화하는 수단으로 활용되었습니다.

가장 잘 알려진 임시공휴일은 1988년 서울올림픽 당시 국민적 관심을 고취하기 위해 지정된 날입니다. 이후로도 월드컵, 아시안게임 등 주요 국제 스포츠 행사에 맞춰 임시공휴일이 자주 지정되었습니다. 그러나 스포츠 행사 외에도 정치적, 경제적 상황에 따른 임시공휴일이 지정되었고, 이로 인해 사회적, 경제적 효과가 발생했습니다.

 

2. 임시공휴일 지정 사례

 

1994년은 한국 역사에서 중요한 임시공휴일 중 하나였습니다. 6월 16일, 전 국가적인 총선이 실시되었고, 이 날은 국민들이 투표에 참여할 수 있도록 임시공휴일로 지정되었습니다. 이후 대선, 총선 등의 선거날에 맞춰 임시공휴일이 몇 차례 더 지정되었습니다.

2015년 광복 70주년을 기념하여 8월 14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되었고, 이는 광복절의 의미를 재조명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같은 해, 메르스 사태로 인해 침체된 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지정된 임시공휴일도 있었습니다.

최근 들어서는 2020년 8월 1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되었습니다. 코로나19로 인한 국민적 피로감과 경기 침체를 완화하기 위해, 정부는 광복절 다음 날을 임시공휴일로 정했습니다. 이는 국민들이 연휴 동안 재충전할 기회를 제공하는 동시에, 내수 경제를 부양하려는 목적이었습니다.

 

 

3. 임시공휴일이 미치는 사회적 변화

임시공휴일의 사회적 효과는 국민들의 휴식과 재충전에 그치지 않습니다.

첫 번째로, 가족 간 유대감 형성에 기여합니다. 현대 사회에서 바쁜 일상을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추가적인 휴일은 가족과 함께 시간을 보내고 관계를 강화할 기회를 제공합니다. 실제로 많은 사람들은 임시공휴일을 맞아 가족 여행을 계획하거나, 휴식하며 소통하는 시간을 가지는 경향이 큽니다.

두 번째로는 사회적 스트레스 완화입니다. 임시공휴일이 지정될 때마다 국민들은 사회적, 직업적 스트레스를 완화할 기회를 갖게 됩니다. 특히 경제적, 정치적 위기가 겹칠 때 임시공휴일은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는 중요한 수단으로 작용합니다. 예를 들어 2015년 메르스 사태 후 지정된 임시공휴일은 국민들에게 건강과 안전에 대한 불안을 줄이고, 일상으로 돌아가는 데 기여했습니다.

4. 임시공휴일의 경제적 효과

임시공휴일의 지정은 사회뿐만 아니라 경제적으로도 큰 영향을 미칩니다. 임시공휴일은 소비 진작의 기회로 활용되기도 합니다. 국민들이 휴일 동안 소비 활동을 촉진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정부는 경기 활성화를 위해 일부러 임시공휴일을 지정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로 2018년 5월 22일, 부처님 오신 날 전날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된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3일 연속 연휴로 이어지며 내수 진작을 목적으로 지정된 날이었고, 이로 인해 많은 국민들이 국내 여행이나 쇼핑에 나섰습니다. 이와 같은 임시공휴일은 소매업, 요식업, 관광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실제로 통계에 따르면 임시공휴일이 있을 때 소매업 매출이 평균 10% 이상 증가하는 효과를 보였습니다

 

출처 나무위키